•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Mechatronics Engineering, Kyungnam University, Korea.)
  2. (Dept. of Mechatronics Engineering, Kyungnam University, Korea.)



EM damper, Electro-magnetic force, Electro motive force, eddy current damper, Suspension

1. 서 론

댐퍼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가전제품, 산업용 동력기기 등이 동작할 때 발생하는 진동의 흡수 및 억제를 위해 사용된다. 최근에는 기존의 기계식 점성 마찰식 또는 유압식 댐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댐핑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BMW, AUDI 등의 회사에서는 에어 서스펜션에 압축공기 주입량을 제어하여 진동을 흡수하고 차체를 제어하는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비싼 부품가와 낮은 내구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면서 최근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다. AUDI에서는 발전기를 차륜에 장착하여 진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발전을 하여 진동에너지를 배터리 전원단으로 그 에너지를 회수하는 서스펜션 시스템을 사용 중이다. 하지만 이 또한 진동으로 발생된 샤프트의 상하운동을 발전기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므로 기구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고가이다(1). 위의 능동형 댐퍼 시스템들은 제조원가가 매우 높아 고가의 시스템에만 적용 가능하며, AUDI의 서스펜션 시스템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진동에너지를 전자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회수하거나 재활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계식댐퍼의 간단한 구조 변경과 저가격으로도 진동 시 발생하는 와전류를 활용해 능동적 댐핑 제어가 가능하며, 진동에너지의 회수 및 재활용이 가능한 와전류형 EM댐퍼를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다양한 댐퍼 힘의 변동을 시뮬레이션하였으며, 진동제어 특성을 확인하였다.

2. 와전류형 EM 댐퍼의 구조와 설계

2.1 기존의 기계식 댐퍼와 EM 댐퍼

기존에는 주로 점성 마찰식 또는 유압을 이용한 기계식 댐퍼가 자동차나 다른 기구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기계식 댐퍼는 진동의 크기와 무관하게 일정한 댐핑력을 주는 구조이므로 진동의 급격한 변동을 억제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진동이 큰 경우에도 동일한 댐핑력이 인가되므로 진동억제에 제한사항이 있다, 그림 1그림 2에서 점성마찰식 댐퍼와 유압식댐퍼의 구조를 보여준다.

그림. 1. 점성마찰식 댐퍼

Fig. 1. hydraulic damper

../../Resources/kiee/KIEE.2022.71.12.1760/fig1.png

그림. 2. 유압식 댐퍼

Fig. 2. Gas type damper

../../Resources/kiee/KIEE.2022.71.12.1760/fig2.png

기존 EM댐퍼는 충격흡수기, 유압회로 및 기타 유압 부품들을 연결한 후 표준 자동 폐쇄 커플링을 사용하며 충격 흡수를 하며, 실린더의 두 부문에서의 양방향 이동을 유압회로의 네 개의 체크벨브에 의해 한 방향 회전으로 향하게 구성되어 감쇠력을 확보한다(2). 하지만 복잡한 구조와 유압 부품을 사용하여 비용이 높아져서 적용 분야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림 3에 기존의 EM댐퍼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그림. 3. 2017년 디스페시의 재생식 쇼크 업소버

Fig. 3. Regenerative Shock Absorber of Dispesh In 2017

../../Resources/kiee/KIEE.2022.71.12.1760/fig3.png

2.2 와전류형 EM댐퍼의 구조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기계식 댐퍼와 기존의 EM 댐퍼의 문제점을 해결 가능한 와전류형 EM 댐퍼를 제안한다. 와전류형 EM 댐퍼는 유압 댐퍼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로드의 플런저에 영구자석을 삽입하고 실린더 외벽에 구리를 매입한 구조로 되어있다(3). 영구자석에 의한 자기장내에서 움직이는 전도체에 유도되는 전류밀도 $\vec{J}$는 표면전하를 무시하면 다음과 같다.

(1)
$\vec{J}=\sigma(\vec{\nu}\times\vec{B})$

여기서, $\vec{J}$와 $\vec{B}$는 각각, 전도판이 움직이는 속도와 자기 플럭스 밀도이며, $\vec{\nu}$×$\vec{B}$는 전류밀도 $\vec{J}$를 유도하는 기전력이다. 식(1)로부터 유도전류는 속도와 자기장의 수직성분 값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수직방향의 자기장에 대해 전도체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와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와전류와 자기장에 의한 전자기력의 방향은 전도체의 운동방향과 반대이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3).

(2)
$\vec{F}=\int_{V}\vec{J}\times Bd V$

자석과 전도체는 감쇠기의 역할을 하게 되며, 능동적인 감쇠력을 확보할 수 있다(4). 그림 4는 와전류형 EM댐퍼의 단면 구조를 보여준다.

그림. 4. 와전류형 EM 댐퍼 단면

Fig. 4. Cross section of eddy current type EM damper

../../Resources/kiee/KIEE.2022.71.12.1760/fig4.png

2.3 유한요소해석

앞서 제시한 와전류형 EM 댐퍼의 감쇠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2D 유한 요소해석을 적용하여 모델링 및 해석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적용한 유한 요소해석은 진동 축을 기준으로 한쪽 단면만 모델링하여 해석하는 축대칭 해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표 1. EM 댐퍼의 진동특성 및 영구자석 사양

Table 1. Vibration characteristics and permanent magnet specifications of EM damper

Parameter

Unit

Value

Permanent magnet

Grade

-

N35H

Br

1.21

Thickness

mm

20

Length

mm

10

Bar

Thickness

mm

80

Length

mm

6

Air gap

Gap

mm

0.5

와전류형 EM댐퍼의 모델링은 앞서 설정한 표 1의 사양으로 설정하였고. 영구자석의 진동조건은 진폭을 18mm 4Hz의 빈도의 조건으로 설정하였으며, 도체 Bar의 영역을 영구자석의 진동 범위보다 넓은 범위로 설정하여 영구자석과 도체 Bar의 위치에 따라 일정한 감쇠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정확한 해석을 위해 적절한 요소망 조건을 설정하여 해석을 진행하였다. 그림 5에 요소망 조건, 자속변화, 자속밀도 유한요소해석모델을 나타내었다.

그림. 5. 유한요소 해석을 위한 모델 (a) 요소망 조건 설정 해석 모델 (b) 자속 변동 유한 요소 해석 모델 (c) 자속 밀도 분포 해석 모델

Fig. 5. Model for Finite Element Analysis (a) Mesh condition setting analysis model (b) Flux Variation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c)Magnetic flux density distribution analysis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12.1760/fig5.png

그림 6에서는 와전류형 EM 댐퍼의 영구자석이 상하로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감쇠력에 대한 유한 요소해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영구자석의 진동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감쇠력이 발생됨을 확인하였고 그 크기는 최대 -7.24[N], 7.53[N]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6. 유한요소해석 결과 (a) 시간에 따른 총변위 (b) 시간에 따른 감쇠력 파형

Fig. 6.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 (a) Total Displacement over time (b) Damping force waveform with time

../../Resources/kiee/KIEE.2022.71.12.1760/fig6-1.png

../../Resources/kiee/KIEE.2022.71.12.1760/fig6-2.png

그림 7에 18mm의 진폭에서 와전류형 댐퍼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변위-힘, 속도-힘 관계를 나타내는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나타내었다. 속도-힘 관계 일정한 진폭에서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쇠력이 증가했으며, 주파수가 커질수록 히스테리시스 곡선은 주축 및 부축 방향으로 거의 균일하게 확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7. 진폭이 18mm인 와전류 댐퍼의 히스테리시스 루프(a) 속도-힘 곡선 (b) 변위 - 힘 곡선

Fig. 7. Hysteresis Loop of Eddy-Current Damper with Amplitude 18mm(a) Velocity-force curve (b) Displacement - force curve

../../Resources/kiee/KIEE.2022.71.12.1760/fig7-1.png

../../Resources/kiee/KIEE.2022.71.12.1760/fig7-2.png

표 2. 진폭 18mm, 주파수에 따른 최대 속도, 최대 감쇠력

Table 2. Amplitude of 18mm, maximum speed according to frequency, maximum damping force

1Hz

2Hz

3Hz

4Hz

Damping force[N]

2.36

4.03

5.99

7.53

-2.26

-3.96

-5.63

-7.24

Velocity[m/s]

0.11

0.22

0.33

0.45

-0.11

-0.22

-0.33

-0.45

표 2에서는 18mm의 진폭에서 와전류형 EM 댐퍼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최대속도, 최대 감쇠력을 나타내었다.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점성 마찰식 또는 유압을 이용한 기계식 댐퍼를 대체하여 와전류형 EM 댐퍼를 제안하였으며 구리와 플런저의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감쇠력을 확보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와전류형 EM댐퍼는 와전류 발생을 기본 원리로 하여 감쇠력을 발생 시킬 수 있는 구조이며 영구자석과 전도체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와전류 발생에 기인하여 감쇠력이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와전류형 EM 댐퍼의 전자기 구조를 검증하기 위하여 축대칭 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2D 유한 요소 해석을 진행하였으며 감쇠력 파형을 분석하였다. 유한 요소 해석결과 영구자석과 전도체 Bar만 이용해 감쇠력 발생이 가능하며 감쇠력의 발생방향이 진동특성과 반대로 작용되어 댐퍼의 특성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또한 능동적인 감쇠력 확보를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감쇠력은 영구자석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발생되었으며 외부 진동에 저항하는 감쇠력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추후 연구로 주요 설계 요소에 대한 최적화 설계를 수행할 예정이며 시제품 제작 및 실험으로 실제 와전류형 EM 댐퍼의 감쇠력을 추가 검증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This thesis is a basic research project (NO. NRF-2021R1I1A3052 760) conducted with the support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ith financial resources from the government (Ministry of Education) in 2021.

References

1 
Kyung-soo kim, 2016.08.11., Audi unveils electric battery charging technology with suspension, encarmagazine, http://wwwencarmagazinecom/news/news1/view/50333Google Search
2 
Zheng Jingwei Gao Peng, Wang Ruichen, Dong Jianguo, Diao Jincheng, 2018, Review on the Research of Regenerative Shock Absorber, Proceedings of the 2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mation & Computing, Newcastle University, Vol. newcastle upon, pp. 1-12DOI
3 
Kwag Dong-gi, Bae Jae-Sung, Jai-Hyuk, 2007, Hwang, Dynamic Characteristics of Eddy Current Damper, Proceedings of the 2007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pp. 1089-1094Google Search
4 
Kim Do-Young, Jeon Jong-Kyun, Kwon Young-Cheol, 2014, Study on the semi-active vibration isolation table using non-linear analysis of MR damper,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24, No. 11, pp. 861-867Google Search
5 
M. G. Son, H. R. Kim, J. H. Ahn, 2014, Damping force analysis in the eddy current damper using the FEA, Proceedings of the 2014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pp. 723-724Google Search

저자소개

정태욱(Tae-Uk Jung)
../../Resources/kiee/KIEE.2022.71.12.1760/au1.png

He received a B.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Pusan ​​National University (1993), an M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Pusan National University (1995), Ph.D.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1999).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Kyungnam University.

백동민(Dong-Min Baek)
../../Resources/kiee/KIEE.2022.71.12.1760/au2.png

H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Kyungnam University (2022) and is currently pursuing a maste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the Department of Mechatronics Engineering at Kyungnam University.

강정인(Jeong-In Kang)
../../Resources/kiee/KIEE.2022.71.12.1760/au2.png

H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Kyungnam University (2022) and is currently pursuing a maste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the Department of Mechatronics Engineering at Kyungnam University.